해외여행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여행과 관련된 질병이나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해외여행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여행과 관련된 질병이나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해외여행과 관련된 질병발생위험은 여행지역, 여행목적, 여행일정, 숙박행태 및 여행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아프리카 사파리 여행, 중남미 열대지역으로의 배낭여행을 준비하고 있다면 황열, 말라리아등 감염질환에 대해 미리 예방주사를 맞고 예방약을 복용해야만 한다.
예방접종
필수예방접종 :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http://travelinfo.cdc.go.kr)서 확인
선택예방접종 : 장티푸스, A형간염, 파상풍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기관
NO |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관할 검역소명) |
---|---|---|---|
1 | 전라북도 군산의료원 | 전라북도 군산시 의료원로 27 | 국립군산검역소 |
2 | 목포시의료원 | 전라남도 목포시 이로로 18 | 국립목포검역소 |
3 | 여수전남병원 | 전라남도 여수시 좌수영로 49 | 국립여수검역소 |
4 | 경상남도 마산의료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231 | 국립마산검역소 |
5 | 통영적십자병원 | 경상남도 통영시 중앙로 97 | 국립통영검역소 |
6 | 의료법인대우의료재단 대우병원 | 경상남도 거제시 두모길 16 | 국립통영검역소 거제지소 |
7 | 혜명심의료재단 울산병원 | 울산광역시 남구 월평로171번길 13 | 국립울산검역소 |
8 | 경상북도 포항의료원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용흥로 36 | 국립포항검역소 |
9 | 대구의료원 |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로 157 | 국립포항검역소 대구국제공항지소 |
10 | 동해시보건소 | 강원도 동해시 천곡로 100-2 | 국립동해검역소 |
11 | 강원대학교병원 | 강원도 춘천시 백령로 156 | 국립동해검역소 |
12 | 강원도 속초의료원 | 강원도 속초시 영랑호반길 3 | 국립동해검역소 속초지소 |
황열(Yellow Fever)
- 접종시기 : 위험지역에 도착하기 적어도 10일전
- 유효기간 : 접종 10일후부터 10년( 접종 효과: 100%)
- 콜레라백신과는 최소 3주 이상 간격 필요
콜레라
- 접종대상 : 유행지역에서 위생여건이 좋지 않은 곳에 근무하는자
- 소화기 방어기전에 장애가 있는 사람(무산증, 위절제환자, 제산제 장기 복용자)
- 접종방법 : 1주 - 1개월 간격으로 2회 ( 6개월마다 추가접종)
장티푸스
- 위험지역에 3주 이상 머무를 경우 접종 권장
광견병
- 아프리카, 동남아, 중남미 일부 지역 연중 발생
- 3회 접종 : 0, 7, 21일
파상풍
- 모든 여행자
말라리아 예방
- 말라리아는 매년 1억명이 감염되고 있으며 치사율이 2-10%에 이르는 높은 원충성 질환
- 고위험지역 : 열대아프리카(서아프리카), 솔로몬제도, 파퓨아뉴기니,태국-미얀마, 태국-캄보디아 접경지대
- 중등도위험지역 : 인도, 타이티 등지
- 저위험도지역 : 동남아시아, 중남미 지역
예방법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할 것
- 예방적 화학요법(전문의약품으로 병의원에서 처방전발부받아 구입)
- 유행지역 방문시 예방약 복용
- 약종류 : 클로로퀸, 메플로퀸, 독시사이클린
해외여행자를 위한 말라리아 약품 (프로마퀸, 활로신) 구입방법
- 관내 병·의원에 직접 방문하여 처방을 받아 약국에서 구입
- 문의전화
- 보건정책과 감염병관리담당 (055-940-8356~7)
- 최종수정일
- 2025-03-09 15:0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