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군] 한센병(Hansen's disease, Leprosy) → 한센간균(Mycobacterium leprae) 감염에 의한 질환
역학적 특징
세계현황
- 리팜핀(rifampin)을 포함하는 복합나화학요법으로 환자 감소 추세
국내현황
- 계속적으로 환자의 유병률과 신환 발생률이 감소함
- 환자현황(’99년말) : 등록자 18,689명, 양성 환자수 518명(양성률 : 2.8%)
- 연간 30명이하로 신환자 발생함(WHO진단기준)
전파경로
- 전파경로에 대해서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상기도 감염, 직접 접촉으로 전파됨(가정내 접촉 및 장기간의 밀접한 접촉이 중요한 요인)18.2 임상적 소견
잠복기
- 2~40년 이상(평균 5~7년)
임상증상
- 피부, 말초신경, 비강점막의 만성 세균성 감염질환임
- 균이 주로 말초신경과 피부에 병변을 일으키고 뼈, 근육, 안구, 고환 등에 침투함
-
임상적으로 나종형(Lepromatous) 나, 결핵양(Tuberculoid) 나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임
- 나종형 나(Lepromatous leprosy) :소결절, 구진, 반점, 미만성 침윤이 대칭성으로 광범위하게 출현. 비강점막 침범으로 코가 주저앉고, 비출혈, 홍채염, 각막염 등을 보임
- 결핵양 나(Tuberculoid leprosy) : 단일 또는 몇 개의 피부 병변을 보이며, 명확히 구분되면서 무감각하거나 양측성 또는 비대칭성 분포를 보이는 심한 말초신경염을 동반함
- 중간군 나(Borderline leprosy) : 나종형 나와 결핵양 나 사이의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남
검사실 소견
- 진단 : 피부도말검사(scrape→ incision method)에서 한센간균 검출(항산균 염색)
-
관리를 목적으로 한, 항산균염색에 의한 미생물학적인 분류(WHO 분류법)
- paucibacillary leprosy(희균 나) : 도말 음성
- multibacillary leprosy(다균 나) : 도말 양성
치료
표준처방(나병관리지침, 국립보건원, 2000)
-
1활동성 환자
- 다균 나 : 답손(100 mg/일), 리팜핀(600 mg/일, 12개월 후부터 월 1회 투여), 클로파지민(50 mg/일 + 월 1회 300 mg 투여)의 3제 요법, 균 음전 후 2년 추가 치료
- 희균 나 : 답손(100 mg/일), 리팜핀(300 mg/일 3개월 후부터 월 1회 투여), 클로파지민(50 mg/일)을 2년 투여 후 6개월 추가 치료
-
2비활동성 환자(마무리 치료)
- 다균 나 : 답손(100 mg/일), 리팜핀(600 mg/월), 클로파지민(50 mg/일)을 병합하여 2년간 투여
- 희균 나 : 답손(100 mg/일), 리팜핀(600 mg/월)을 병합하여 6개월 투여→ WHO의 표준 처방
- 다균 나 :리팜핀(600 mg, 월 1회)을 포함하는, 답손(50~100 mg/일), 클로파지민(clofazimine 50 mg/일, 300 mg 월1회 투여) 등의 3제로 12개월
- 희균 나 :리팜핀을 포함한 2제로 6개월 - 단일병변 희균 나는 ROM(Rifampin, Ofloxacine, Minocycline) 복합요법으로 1회 투여
환자 및 접촉자 관리
- 환자관리(정부가 한센보건복지협회를 통하여 관리함) → 격리
- 나종형 나환자 → 접촉 격리
- 결핵양 나환자 → 필요 없음
- 감염기간 : 치료(답손, 클로파지민 또는 리팜핀 3제 투여)후 감염력이 3개월 이내 소실됨 → 감염력이 있는 환자의 코 분비물 소독
-
접촉자관리
- 가정내 접촉자에 대해 우선적으로 한센병 검진이 필요함
- 접촉후 5년간은 매년 검진실시
- 문의전화
- 보건정책과 감염병관리담당 (055-940-8376)
- 최종수정일
- 2025-02-27 11: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