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등록 사업

장기 등 기증 희망등록이란?

장기기증이란?

다른 사람의 장기 기능 회복을 위하여 특정한 장기를 대가 없이 제공하는 것

인체조직기능이란?

신체의 일부로써 사람의 건강, 신체 회복 및 장애 예방을 위하여 뇌사 또는 사망 후 대가 없이 신체 일부를 제공하는 것

기증희망등록이란?

본인이 뇌사 또는 사망에 이르렀을 때 장기․조직을 대가 없이 기증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하는 것

※ 실제 기증 시점이 되었을 때 가족 중 선순위자 1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

기증희망등록방법

  • 등록기관 방문등록 : 거창군보건소 또는 가까운 장기이식등록기관 방문하여 기증희망자 등록신청서 작성
  • 모바일 또는 PC :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홈페이지(www.konos.go.kr)에 접속하여 휴대폰이나 공동인증서를 통해 본인확인을 거친 후 등록
  • 우편 신청

장기등 및 조직 기증희망등록 형태

  • 장기등(신장, 간장, 췌장, 췌도, 심장, 폐, 소장, 안구 등) 기증
  • 조직(뼈, 연골, 근막, 피부, 양막, 인대, 건, 심장판막/심낭, 혈관 등) 기증
  • 안구(각막) 기증

장기기증과 인체조직 기증의 차이점

구분, 장기, 인체조직 항목으로 장기기증과 인체조직 기증의 차이점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장기 인체조직
종류 신장, 간장, 심장, 폐 등 뼈, 연골, 근막, 피부 등
기증시기 살아있을 때 혹은 뇌사 시 사망 후 24시간 이내
이식시기 즉각적으로 이식 가공 및 보관 거쳐 이식(최장 5년 보관)
특징 한 사람의 기증으로 최대 9명이 수혜가능 한 사람의 기증으로 최대 백여명이 수혜가능

기증희망 등록 후 실제 기증 절차

뇌사 장기기증 절차

  1. 01
    • 장기이식등록기관에 기증희망등록
  2. 02
    • 기증희망등록자가 뇌사상태에 이름(추정)
  3. 03
    • 의료진에 기증의사를 밝히거나 장기조직통보센터로 연락
  4. 04
    • 뇌사판정 의료기관 등에서 기증자의 유가족 면담 및 동의확인
  5. 05
    • 뇌사자관리기관에서 뇌사판정 절차 진행 및 판정
  6. 06
    •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장기적출 및 이식
  7. 07
    • 유가족에게 기증자 인도(장례절차 진행)

인체조직기증 절차

  1. 01
    • 조직기증자등록기관에 기증희망등록
  2. 02
    • 기증희망등록자가 뇌사상태에 이르거나 사망(추정)
  3. 03
    • 사후 15시간 내 의료진에게 기증 의사를 밝히거나 장기조직통보센터로 연락
  4. 04
    • 발생의료기관에서 기증자의 유가족 면담 및 동의 확인
  5. 05
    • 조직은행에서 기증자 적합성 평가
  6. 06
    • 인체조직 채취
  7. 07
    • 전문장례지도사를 통한 시신복원
  8. 08
    • 유가족에게 기증자 인도(장례절차 진행)

안구기증 절차

  1. 01
    • 장기이식의료기관에 기증희망등록
  2. 02
    • 기증희망등록자의 사망
  3. 03
    • 가족 또는 발생의료기관에서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로 연락
  4. 04
    •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안구적출 의료기관으로 연락
  5. 05
    • 안구적출 의료기관에서 기증자 발생장소로 출동
  6. 06
    • 기증자발생장소에서 기증자의 유가족 면담 및 동의 확인
  7. 07
    • 기증자의 안구적출 및 적출부위 복원
  8. 08
    • 유가족에게 기증자 인도(장례절차 진행)

문의전화
보건정책과 공공의약담당 (055-940-8330)
최종수정일
2024-12-20 17:26:05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