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정수장현황
취정수장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의 수원(水原)은 황강천, 가천천, 상천저수지와 계수천 복류수의 호소수를 취수하여 과학적인 정수처리공정을 거쳐 안전하고 깨끗한 물로 만들어집니다.
구 분 | 주소 | 시설용량 | 취수원 | 정수방식 | 급수구역 | 1일 평균 생산량 | 지도보기 | |
---|---|---|---|---|---|---|---|---|
거창 | 취수장 | 거창읍 심소정길39-68 | 24,000㎥/일 (8.33㎥/min×75mH×5대) |
하천복류수 (황강천) |
급속여과 | 거창읍, 남상면, 남하면 일원 |
17,221㎥/일 | 지도보기 |
정수장 | 거창읍 노혜2길 100-65 |
|
지도보기 | |||||
가조 | 취수장 | 가조면 장기리 246-1 | 3,830㎥/일 (2.66㎥/min×48mH×3대) |
하천복류수 (가천천) |
급속여과 | 가조면 일원 | 1,906㎥/일 | 지도보기 |
정수장 | 가조면 가조가야로 858 |
|
지도보기 | |||||
위천 | 취수장 | 위천면 상천리 산37-25 | 자연유하 | 호소수 (상천저수지) |
막여과 | 위천면 일원 | 500㎥/일 | 지도보기 |
정수장 | 위천면 강남불1길 220-53 | 800㎥/일 | 지도보기 | |||||
웅양 | 취수장 | 웅양면 죽림리 252-1 | 900㎥/일 (0.31㎥/min×12mH×3대) |
하천복류수 (계수천) |
막여과 | 웅양면, 주상면 일원, 거창읍 일부 |
562㎥/일 | 지도보기 |
정수장 | 웅양면 죽림리 252-9 | 800㎥/일 | 지도보기 |
거창정수장


- 황강천 복류수 : 거창 수돗물의 수원이 되는 황강천 복류수입니다.
- 착수정 : 취수장으로부터 도착한 원수를 안정시키고 유량을 조절하는 곳입니다.(전염소 투입)
- 혼화·응집지 : 착수정에서 보내온 물에 적정량의 약품을 섞어 플럭(덩어리)을 형성시키는 곳입니다.
- 침전지 : 응집지에서 형성된 플럭은 가라앉히고 깨끗한 상등수를 여과지로 보냅니다.
- 여과지 : 침전지에서 보내온 물을 모래와 자갈층에 통과시키면 물속의 작은 입자들도 제거됩니다.
- 약품투입실 : 여과지를 거쳐 온 물에 소량의 염소를 넣어 소독하는 마지막 공정입니다.
- 배수지 : 깨끗하게 생산된 물을 각 가정으로 보내기 전까지 저장하는 중간 물탱크입니다.
가조정수장


- 가천천 복류수 : 가조 수돗물의 수원이 되는 가천천 복류수입니다.
- 착수정 : 취수장으로부터 도착한 원수를 안정시키고 유량을 조절하는 곳입니다.(전염소 투입)
- 혼화·응집지 : 착수정에서 보내온 물에 적정량의 약품을 섞어 플럭(덩어리)을 형성시키는 곳입니다.
- 침전지 : 응집지에서 형성된 플럭은 가라앉히고 깨끗한 상등수를 여과지로 보냅니다.
- 여과지 : 침전지에서 보내온 물을 모래와 자갈층에 통과시키면 물속의 작은 입자들도 제거됩니다.
- 약품투입실 : 여과지를 거쳐 온 물에 소량의 염소를 넣어 소독하는 마지막 공정입니다.
- 정수지 : 깨끗하게 생산된 물을 각 가정으로 보내기 전까지 저장하는 중간 물탱크입니다.
위천정수장


- 상천저수지표류수 : 위천 수돗물의 수원이 되는 상천저수지표류수입니다.
- 약품투입실 : 물에 소량의 염소를 넣어 소독하는 공정입니다.
- 망간제거기
- 여과지 : 침전지에서 보내온 물을 모래와 자갈층에 통과시키면 물속의 작은 입자들도 제거됩니다.
- 약품투입실 : 여과지를 거쳐 온 물에 소량의 염소를 넣어 소독하는 마지막 공정입니다.
- 정수지 : 깨끗하게 생산된 물을 각 가정으로 보내기 전까지 저장하는 중간 물탱크입니다.
웅양정수장


- 계수천 복류수 : 웅양,주상 수돗물의 수원이 되는 계수천 복류수입니다.
- 약품혼화조
- 망간여과사
- 여과지 : 침전지에서 보내온 물을 모래와 자갈층에 통과시키면 물속의 작은 입자들도 제거됩니다.
- 약품투입실 : 여과지를 거쳐 온 물에 소량의 염소를 넣어 소독하는 마지막 공정입니다.
- 배수지 : 깨끗하게 생산된 물을 각 가정으로 보내기 전까지 저장하는 중간 물탱크입니다.
- 담당부서
- 수도사업소 정수담당(☎ 055-940-8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