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 페이스북 담기
  • 트위터 담기
  • 구글플러스 담기
  • 링크 주소 복사
  • 본문 인쇄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웅양면(熊陽面)

본 군의 중앙부 북단에 자리하여 경상북도 김천시와 맞닿아 있다. 조선시대에는 동남쪽에 웅양방 또는 웅양면이라 하여 동변리(東邊里), 신창리(新倉里), 화동리(和洞里), 죽림리(竹林里) 등 5개 리를 두었고, 북서부는 적화현방(赤火 峴坊)또는 적화면(赤火面)이라 하여 아주리(鵝州里), 대현리(大峴里), 취송정리(翠松亭里) 등 3개 리가 있었는데, 지금 은 이곡을 적화, 적하, 하성(赤火, 赤霞, 霞城) 등으로 부른다. 1914년 2개 면을 합하여 웅양면이라 한다. 본 면의 남쪽 주상면 성기리와 경계를 이루는 산이 곰이 누워있는 모양 같 아 와웅산(臥熊山) 또는 곰내뫼, 웅남(熊南)이라고도 썼다가 양지바른 따뜻한 곳이라 하여 웅양이라 한다. 지금은 동호 리, 죽림리, 노현리, 산포리, 군암리, 신촌리, 한기리 등 7개 리로 나눈다.

동호리(東湖里)

동호와 성북으로 나눈다.

  • 동호, 뒹편 : 삼한시대부터 옛터라고 하며, 본 면을 남북으로 흐르는 미수천(渼水川)의 동쪽에 자리하므로 동변리(東邊里)라 하다가 19세기 초 순조 때 이곳에 살던 진사 이지유(李之裕)의 호를 따라 동호리라 하였다. 이 마을은 쳉이(키)설이라 하여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서 살 수록 부자가 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성북(城北), 잣뒤 : 옛날에는 용바위가 마을 뒤에 있으므로 용호동(龍湖洞)이라 하였다.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므로 마을을 아래로 옮겨 성 재 북쪽에 자리하게 되어 성북 또는 "잿뒤"라고 부르던 것이 "잣뒤"가 되었다.

죽림리(竹林里)

운평, 구암, 누룩재, 죽림 등 네 마을이 있다.

  • 운평(雲坪), 굼들 : 마을이 낮은 들 가운데 자리하여 늘 안개가 많이 끼어 구름들 '굼들'이라 한다.
  • 구암(九岩), 구지바우 : 마을 어귀에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 거북 '구'자 구암(龜岩)이라 하다가 바위가 여러 개 있으므로 아홉 '구'자 구암으로 바꾸었다. 흔히 "구지바우"라 한다. 400여 년 전 우씨가 창동했다고 전한다.
  • 누룩재 : 옛날 마을 둘레에 느릅나무가 많았고, 서쪽 주상면 내오리로 통하는 재를 느릅나무재라고 한데서 누룩남재, "누룩재" 라 부르게 되었다.

노현리(老玄里)

노현, 원촌, 화동 세 마을로 이루어졌다.

  • 노현(老玄) : 노금지재 밑에 있으므로 "노금동"이라고 하며, 노현은 노금지재의 한문 표기 노나라 '노'자, 줄풍류 '현'자(魯絃)에서 생긴 것이다. 임진왜란 때 동래 정씨가 마을을 열었다고 한다.
  • 원촌(院村), 장터 : 사액서원인 포충사(褒忠祠)가 있기에 원촌이라 하고, 시장이 있으므로 "장터"라고도 한다.
  • 화동(和洞), 화동골 : 원촌에 따른 작은 마을로 화촌재(和村齋)가 있어 화촌, 화동골이라고 했다.

산포리(山圃里)

산포, 석정, 우랑, 강천, 금광, 어인 여섯 마을이 있다.

  • 산포(山圃) : 산과 물이 좋아서 산수동(山水洞)이라 하다가 산포로 바꿨다. 옛날 탁, 허(卓, 許) 두 성씨가 살았다 하며, 1795년께 청산현감을 지낸 연안인, 이지순(李之淳)이 옮겨 왔다고 한다.
  • 석정(石亭), 돌정지 : 마을 앞에 돌덤과 정자 나무가 있으므로 "돌정자"라고 한다.
  • 달맞이 재(望月峰) : 마을 뒤 북쪽에 있는 산이다. 정월 보름에 부부가 함께 달맞이를 하면 아들을 얻는다는 전설이 있다. 이 산의 중턱을 지나 장교마을, 용전마을로 통하는 산길이 있다. "무학재"라고 한다.
  • 우랑(牛郞) : 뒤에 있는 백암산(白岩山)을 양각산(兩角山)이라 하고, 풍수설에 쇠불알설이라 하여 우랑이라 하였다.
  • 강천(江川), 장다리 : 하성, 금광, 우랑에서 흐르는 세 갈래 물이 어울리므로 강천이라 이름 했고, 흔히 "장다리"라고 한다.
  • 금광(金光) : 마을 근처 산에 금이 많이 묻혀있다 하여, 또는 산의 바위에 늘 물기가 있어서 햇빛이 번쩍이므로 생긴이름이라 한다.
  • 어인(於仁) : 어진 사람이 많이 날 것이다 하여 이름되었고, 경상북도와 경계이 있다. 우두령에 자리하므로 우두령(牛頭嶺)이라고도 한다.

군암리(君岩里)

용전, 구수, 군암, 송산 네 마을이 있다.

  • 용전(龍田) : "아침터"라고 하며 엄씨(嚴氏)가 마을을 열었다고 전한다. 용이 밭에 앉은 형국이라 이름하였고, 앞산은 오리가 알을 품을 형태라 한다.
  • 구수(口水) : 풍수설에 뒷산은 소와 같고, 마을은 구유 형국이라 구유통 "조"자 조동(槽洞)이라 하며 구유의 사투리 "구시"가 구수로 바뀌었다.
  • 군암(君岩), 군대암 : 마을 앞산에 스승바위가 있어서 스승부자 바위 '암'자 부암(傅岩)이라 하다가, 임금바위로 이름을 바꿔 군대암(君大岩)이라 한다.
  • 송산(松山) : 마을 앞에 소나무 정자가 있어서 "송징이"라 하다가 송산이라 한다. 한 300여 년 전에 동래 정씨, 기계 유씨, 남원 양씨가 들어와서 마을이 되었다고 전한다.

신촌리(新村里)

아주, 신촌, 왕암, 진마루 네 마을이 있다.

  • 아주(雅州) : 적화현방 때 아주리였다. 거위설이 있어서 거위 '아'자 아주(鴉州)라고도 쓰며, "아줏골"이라 부른다.
  • 신촌(新村) : 새로 생긴 마을로 "신기촌(新基村)"이라고도 하며, 적화현방의 소재지였다. 뒷날 적화면사무소 소재지가 되었고 지금도 "사무실터"가 있다.
  • 왕암(王岩) : 마을 어귀에 있는 바위 "왕바위"가 마을 이름이 되었다.
  • 진마루(長旨 장지) : 청룡(마을로 올라가는 낮은 산)의 날등이 길고 마을이 높은 곳에 있어 장지(長旨)라 불리던 것을, 2015년 3월 25일 예전부터 사용하던 고유의 이름인 진마루로 변경하였다.

한기리(汗基里)

원오산, 신오산, 백학동, 하곡, 한기 다섯 마을이 있다.

  • 오산(吾山) : 옛날 큰 오동나무가 있었으므로 오동 '오'자 오산(吾山)이라고 썼다고 한다. 원오산이라고도 부른다.
  • 신오산(新吾山) : 오산 마을 동쪽 100여 미터 떨어진 데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 백학동(白鶴洞)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으로 통하는 "배터고개"에 자리하고 학모양으로 생긴터라 하여 이름되었다.
  • 하곡(霞谷) : 마을 뒤에 있는 거말산(巨末山) 이름을 따라 "걸머리"라고 한다.
  • 한기(汗基) : 경상북도와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875미터의 국사봉(國師峰) 남쪽 기슭에 자리하며, "큰재"라는 뜻에서 대현리(大峴里)라 하다가 원한기(元汗基)라 부른다.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담당부서
웅양면 총무담당(☎ 055-940-7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