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 페이스북 담기
  • 트위터 담기
  • 구글플러스 담기
  • 링크 주소 복사
  • 본문 인쇄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우혜리(牛惠)

우혜, 백학, 상감월, 중감월, 하감월, 은사동, 어인의 7개 마을이 있다.

  • 우혜(牛惠) : 농부가 어린 것을 논두렁에 눞혀두고 일을 하는데 호랑이가 와서 헤치려 하자 소가 호랑이와 싸워서 상하는 틈에 어린 것이 살았으므로 소의 은혜를 생각하여 우혜라고 이름 지었다는 말이 있다.
  • 백학(白鶴) : 해발 700m의 높은 곳으로 개간한 땅에 참깨 농사를 많이 했으므로 깨밭골 이라 하였고, 마을 양쪽에 들이 있고, 가운데 산이 솟아 학이 나래를 편 모양이라 하여 백학이라 한다.
  • 상감월(上甘月) : 1623년의 인조반정으로 내암 정인홍이 실각하여 처형되자 그의 친척들이 숨어 들어와 살면서 대를 모아 나무를 심고 감음대(甘陰台)라 한 것이 감월(甘月)이라 되었다고 한다. 또 마을 아래 감은사(甘隱寺)절이 있어서 감은리, 감월 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감월에서 가장 위쪽에 있어서 상감월이라 한다.
  • 중감월(中甘月) : 350여년 전 마을에 감은사가 있었다 한다. 창밖 숲 사이로 비치는 달빛이 유난히 아름다워서 감월(甘月)이라 했다고 한다.
  • 하감월(下甘月) : 감월에서는 가장 늦게 생겼으므로 새터라 하다가 맨 아래 있으므로 아래 감월리라 한다.
  • 은사동(隱士洞)) : 옛날 어진 선비가 숨어 살았다 하여 이름되었고, 300여년 전 금구 이씨가 마을을 열었다고 한다.
  • 어인(於仁) : 옛날에는 마을 앞까지 고기가 놀았다 하여 고기어, 어질인 어인(魚仁)이라던 것을 에어(於)자로 바꾸었다.

박암리(朴岩里)

공수, 박암, 호암, 옥산, 신기의 5마을이 있다.

  • 공수(孔洙) : 중국 사기에 孔子設敎洙泗之上 "공자가 수수(洙水)와 사수(泗水)가에서 가르쳤다." 라는 글에서 인용한 이름으로, 유학의 마을 또는 선비의 마을이라는 뜻이다. 마을 앞 냇가 바위가 물에 씻끼어 구멍이 뚫였으므로 공수라한다는 말도 있다.
  • 박암(朴岩) : 마을 앞에 있는 박같이 생긴 바위로 하여 마을 이름이 생겼다.
  • 호암(虎岩) : 마을 가운데 옛날 호랑이가 누었다는 높이 4m, 길이 7m의 큰 바위가 있어서 "범바위"라고 한다.
  • 옥산(玉山) : 마을 곁의 산골짜기에 선녀인 옥녀가 누웠던 자리가 있다하여 "눌목"이라고 하며 옥산이라고도 한다.
  • 새터(新基) : 150여년 전 박암 마을에서 안동 권씨가 제금 나와서 이루어진 마을로서 "새터"라 한다.

몽석리(夢石里)

몽석, 덕동, 내촌, 강계, 명동 등 5개 마을이 있다.

  • 몽석(夢石) : 임진왜란 때 영동에서 피난온 김영인 김이련(金以璉)이 반석 위에서 낮잠을 자다가 꿈결이 도승이 나타나 이곳이 자손을 키우며 살만한 곳이라 하므로 살기 시작하고 마을 이름을 몽석이라 했다.
  • 덕동(德洞) : 후백제 견휜왕의 후손이 이곳에 숨어 살면서 귀한 아들을 얻었다 하여 덕골 이라 했다고 전한다.
  • 내촌(內村) : 소학(小學) 내칙편(內則篇)의 예의범절을 배우는 것이 사람되는 근본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이다.
  • 강계(江界) : 본시 생강장, 터기, "강기(薑基)"였는데 강계로 바뀌였다.
  • 명동(椧洞) : 마을 아래 논들로 물을 대는 홈통이 있어서 홈통명(椧)자 명동, "홈거리"라고 불리고 있으며 400여년전 전주 최씨가 최초로 거주한 곳이다.

용암리(龍岩里)

송정, 홍감, 용암, 상개금, 하개금, 장전 등 6개 마을이 있다.

  • 송정(松亭) : 처음 마을 터를 잡을 때 온 누리가 눈에 덮혔으나 이곳마은 솔숲에 가리어 눈이 없기에 터를 잡았다 한다. "소지이"라고 한다.
  • 홍감(弘甘) : 마을 앞에 가마솥같이 생긴 큰 바위가 있어서 "홍가마"라고 부르던 것이 홍감으로 바뀌었다.
  • 용암(龍岩) : 마을 뒷산에 용의 머리 같이 생긴 바위가 있어서 붙인 이름이다.
  • 상개금(上開金) : 큰골의 가장 북쪽끝에 있는 마을이다. 북동 2km에 경상북도 성주군과 맞닿아 있다. 옛날에는 앞뒤 산과 골짜기에서 금이 많이 나왔고, 지금도 금광 흔적이 남아있다. 금동 불상이 나왔으므로 "개금불(開金佛)"이라고 하였다는 말도 있다.
  • 하개금(下開金) : 개금골의 아래에 자리함으로 아래 개금불이라 한다.
  • 진밭(長田) : 마을 앞에서 마을 뒤까지 이어진 긴 밭이 있어서 "진밭"이라 한다.

중촌리(中村里)

불석동, 수재동, 심방소, 다전, 동촌, 산수동, 고비 등 7마을이 있다.

  • 불석동(佛石洞) : 가북면 작은골의 가장 북쪽끝 동리였는데 지금은 마을이 없어졌다. "폭시기"라고 하였다. 수도사 부처를 다듬은 돌이 이 골짜기에서 나왔으므로 불석동이라 하였다.
  • 수재골(秀材洞) : 천재가 살았다는 전설에 따라 이름하여 "수잿골"이라 한다.
  • 심방소(尋芳所) : 고려말 신방(申肪)이라는 사람이 은거하던 곳이라 이름되였다. 뒷산에 땔 나무가 많아 신방(新方), 경치가 좋아서 심방 (尋芳)이라 쓰기도 했다.
  • 다바지(茶田) : 다바지라 하며, 한말 면우 곽종석(俛宇 郭鍾錫) 선생이 만년에 이곳에서 많은 제자를 가르쳤고, 파리장서운동을 주도하였으므로 전국에서 많은 인사들이 출입하였다. 중촌(中村)이라는 이름으로 불러오다가 1995년부터 다전이라 한다.
  • 동촌(東村) : 다전 마을의 동쪽에 있어서 동촌이라 한다.
  • 산수마(山水洞) : 산수 경치가 좋아서 "산수마"라 한다.
  • 고비(高飛) : 해발 700m의 높은 곳에 자리한다. 학이 높이 날면서 놀았다 하여 이름 되었다 하고, 고사리와 같은 고비 나물이 많이 나므로 고비라 한다는 말도 있다.

해평리(海坪里)

회남, 추동, 연곡, 월전, 양암 등 5마을이 있다.

  • 회남(淮南) : 희너미재 밑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는 "널무이, 판문동(板門洞)" 이라 했다.
  • 추동(秋洞) : 가래나무가 많아서 가래나무추(楸)자 추동이라 하다가 가래나무가 없어진 뒤에 가을 춧자로 바꾸었다고 한다. 뒷산의 큰 바위에 독수리가 살았으므로 '수리더미'라고 하며 수리란 고구려말 봉우리의 뜻이 있다.
  • 연곡(燕谷) : 마을 뒷산에 제비 모양이라 "제비실"이라 부르며 200여년 전에 송씨에 의해 마을이 열렸다고 한다.
  • 월전(月田) : 마을 뒷산이 닭이 날개를 펴고 있는 것 같아 닭밭이라 하다가, 앞들이 둥근 달과 같이 생겼다하여 "달밭"이라 한다. 달전(達田)이라고도 썼다.
  • 양암(陽岩) : 마을 앞 길가에 가로 12m, 세로 7m의 큰바위가 있다. 양씨가 이바위에서 놀았다하여 양성암(梁姓岩)이라 하고, 마을을 양성암리(陽城巖里)로 하였는데 양씨가 떠나고, 전씨, 김씨가 살면서 양암으로 바뀌었다.

용산리(龍山里)

용산, 율리 두 마을로 이루어졌다.

  • 용산(龍山) : 용산과 정봉 두 담으로 이루어 졌는데, 용산은 가야산에서 마을 뒤까지 남서로 뻗은 산줄기가 용같아서 용산이라 했다는 말도 있고, 옛날 중국의 맹가(孟嘉)라는 사람이 9월 9일 낙모대(落帽台)에서 술 마시며 풍류를 즐기던 곳이 용산인데, 마을 근처에 낙모대가 있어서 용산이라 한다는 말도 있다.
  • 율리(栗里) : 옛날 마을 앞 냇물에 배를 맺던 곳이라 "배속골"이라 했다. 마을 주변에 밤나무가 많아서 율리라 한다는 말도 있고, 또 4~5세기 중국의 시인 도연명(陶淵明)이 살았던 땅 이름이 율리 였는데 혹 지조높은 문장이 살았음인지 알아봐야 할 것이다.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담당부서
가북면 총무담당(☎ 055-940-7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