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 페이스북 담기
  • 트위터 담기
  • 구글플러스 담기
  • 링크 주소 복사
  • 본문 인쇄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위천면(渭川面)

본군의 서부 가운데에 자리하여, 동쪽에 고제면, 주상면, 남쪽에 마리면, 북쪽에 북상면과 맞다고, 서쪽은 금원산과 기백산의 산줄기를 경계로 함양군과 만난다. 북상면, 마리면과 함께 본군의 서부를 이루면서 가야, 신라, 고려때 염례, 남내, 여선, 감음으로 부른 행정구역으로써 그 치소의 소재지였다. 조선시대에는 면의 가운데를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위천 냇물의 동쪽을 안의군의 북쪽 끝자리인 북상면에 이어서 북하면(北下面)이라 하고, 황산(黃山), 당산(堂山), 무어(舞於), 월치(越峙) 등 4개 리를 두었다. 위천 서쪽에 고려 때 감음현의 치소가 있었던 곳으로 고현면(古縣面)을 두고, 거차(居次), 사마(司馬), 우곡(牛谷), 강남(江南), 상천(上川), 신계(申溪), 부곡(婦谷), 마항(馬項), 강동(薑洞), 역동(墿洞) 같은 10개 리가 있었다. 1914년 두면을 합하여 가운데 냇물의 이름을 따서 위천면이라 하였다. 지금은 장기리, 남산리, 상천리, 황산리, 당산리, 모동리, 강천리 7개 리로 되어 있으며 본 군 서부의 중심지라 할 수 있다.

장기리(場基里)

장기, 창촌, 사마, 거차 4마을이 있다.

  • 장기(場基) : 옛 고현면에 따랐고, 장터가 있으므로 "고현장터" 또는 "장터"라고 한다.
  • 창촌(倉村) : 삼한시대부터 나라의 광이 있으므로 "창말"이라 하며, 안의군 고현면 신계리(申溪里)였다. 신계는 옛 남내(南內)에서 생긴 이름이다. 가야, 신라, 고려시대의 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 사마(司馬) : 안의군 북하면의 서쪽끝에 자리함으로 서말리(西末里), "서마리"라 한다는 말이 있다. 조선 초기 초계인 정제안(鄭齊安)이 초계에서 옮겨와 살았으므로 마을이 되었다고 본다. 정제안을 비롯하여 사마시에 합격한 8사람의 생원, 진사가 났으므로 사마리라 이름하였다.
  • 거차(居次) : "거차리"라 한다. 조선 초기에 생긴 마을이라 한다. 마을 서쪽에 학담이 있어 석학동(石鶴洞)이라 불려오다가 한 스님 의 권유로 거차리로 고쳤다고 한다.

남산리(南山里)

옛날에는 우곡(牛谷里)에 따랐던 곳이며, 위천의 남쪽 끝 산밑에 자리하므로 붙인 이름이다. 남산동, 금곡, 호동, 가현, 화로곡 등 5개 마을이 있다.

  • 남산동(南山洞) : 마을 서쪽에 금원산이 있고, 동쪽 위천에는 학담이 있으므로 원학동(猿鶴洞)이라고 하다가 조선 명종 때부터 남산동이라 부른다.
  • 화로곡(花老谷) : 남산동 동쪽, 위천냇물 건너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하류골"이라 한다.
  • 금곡(金谷) : 고려말 거창 유씨(劉氏)에 의해서 생긴 마을이다. 쇠실, 우곡(牛谷) 등으로 쓰였고, 쐬실 이라고 부른다.
  • 호동(狐洞) : 여시골이라 한다. 서덕들 동쪽끝에 남향한 작은 마을이다. 조선 중엽에 생겼다고 한다.
  • 가현(佳峴) : "가재"라 하며, 사방이 산에 쌓여 삼한곡(三韓谷)이라고 하는데 고려 때부터 있었던 마을이라고 한다.

상천리(上川里)

본 면의 서쪽에 높이 솟은 금원산의 동쪽 기슭에 펼쳐진 곳이다. 상천, 서원, 덕거, 후방, 강남불, 점터 등 6개 마을이 있다.

  • 상천(上川) : "상처이"라고도 부른다.
  • 서원(書院) : 고려 때의 판서 경부흥(慶復興)을 모시던 덕천서원(德泉書院)이 있었으므로 "서원땀"이라 한다.
  • 강남불(江南佛) : 고려 숙종 때(1096 ~ 1105) 마을이 열렸다고 전한다. 마을이 생길 때까지 강남사(江南寺)가 있었다고 전하며, 지금도 석불이 남아있다.
  • 점터(店基) : 금원산 동쪽 기슭에 있다. 금원산 곳곳에서 쇠를 모아서 이곳에서 연장을 만드는 점이 있었다. 정희량이 여기에서 무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지금은 화강석 채석장이 있다.

황산리(黃山里)

원황산의 지형이 노루의 목과 같다하여 노루목이라 불리어 오다가 조선 중엽 이후 황토백산(黃土百山)에서 황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원황산, 어나리, 동촌 등으로 나눈다.

  • 황산(黃山) : 황산 큰마을은 18세기 중엽에 황고 신수이(黃皐 愼守彛)가 새로 마을터를 잡은 거창 신씨의 집성촌으로, 영조 이후 인물이 연이어 배출되었던 곳이다. 원황산 마을 근처에 몇 채 씩의 집으로 된 작은 마을이 있다.
  • 어나리(院下里) : 구연서원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생긴 이름이다. 달빛아래 수승대에서 척수대로 흐르는 냇물과 냇가의 흰 돌이 은하수같이 비치므로 은하리(銀洞里)라고도 하였고, 물고기를 잡는 곳이라 어천(漁川)이라 쓰기도 하였다고 전한다.
  • 동촌(東村) : 황산 마을 가운데를 흐르는 개울 동쪽에 있으므로 동촌이라 하며, 웃말, 죽바우, 서원, 뒷골을 엎쳐서 동촌이라 하는데 조선 초기에 창녕조씨가 마을을 일으켰다고 한다.

당산리(棠山里)

옛 안의군의 북하면에 들었고, 조선 초기 변씨(邊氏)가 살기 시작했다고 전하며, 마을 근처에 아거이 나무가 많아서 생긴 이름이라 한다. 당산과 영풍 두 마을이 있다.

  • 당산(棠山) : 옛 북하면의 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마을 앞산에 변씨들의 옛 무덤이 있다.
  • 영풍(咏風) : 당산 북쪽 800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 영풍정(咏風亭) : 초계인 정기(鄭紀)가 시를 읊 조리던 곳에 세웠으나 지금은 빈터만 남아 있다.

모동리(茅東里)

위천면의 동북끝에 자리하여 호음산에 매봉, 석부산, 취우령으로 동쪽 경계를 이루어서 고제면과 주상면에 맞대인다. 모전, 석동, 무월, 원당 4개 마을이 있다.

  • 모전(茅田) : 조선 시대에는 모서리(茅西里)라고 하였고, 띠밭말 이라 부른다. 원당, 무월까지를 통털어서 모전이라 했다.
  • 석동(石洞) : 석부산(石釜山)밑에 있으므로 이름되었고, "독점"이라고 한다.
  • 무월(舞月) : "멀이"라고 한다.
  • 원당(元塘) : 모동에 따른 작은 마을로 "원대이"라 한다.

강천리(薑川里)

고려말 이예(李芮)가 살던 곳이므로 그의 호에서 마을과 앞 냇물의 이름을 강천으로 하였다고 전한다. 강동, 마항, 면동 등 세 마을이 있다.

  • 강동(薑洞, 干洞) : 마을이 버드나무에 꾀꼬리 둥지가 있는 형국이므로 유지양소(柳枝鶯巢)설이라, 소앵골(巢鶯谷)에서, 또는 정제안(鄭齊安)이 생강을 농사지었기에 강동, 또는 "새앙골"이라 한다. 마을의 동북쪽을 역골(嶧洞)이라 하는데, 본래는 문주동(文冑洞)이 있었다고 하며, 고려말 효자 반전(潘晪)이 살던 곳이다.
  • 마항(馬項) : 북상면 농산리와 위천면 강천리 사이의 말목고개 아래 자리하므로 "말멕이"라고 하며 고려말 합천 이씨가 처음으로 마을을 열었다고 한다.
  • 면동(眠洞) : 고려 중엽부터 강양 이씨가 마을을 열었다 하고, 며느리가 자리를 잡았으므로 며느리실 부곡(婦谷)이라 하던 것을 "미너실"이라 하게 되었다. 마을이 잠자는 소의 형국이라 하여 면우동(眠牛洞)이라고도 하다가 면동이라 하게 되었다.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담당부서
위천면 총무담당(☎ 055-940-7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