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정보마당 > 공지사항

공지사항

  • 페이스북 담기
  • 트위터 담기
  • 구글플러스 담기
  • 링크 주소 복사
  • 본문 인쇄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작성일
2007-06-29 16:02:11
이름
농업기술센터
조회 :
941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
(제8호 : 2007. 7. 1~7. 15)






☞ 다음 병해충 발생정보는 7월 12일 발표합니다.
식량작물 병해충

1. 잎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예보)
<잎도열병 발생모습> ○ 대부분의 포장에서 벼가 튼튼하게 자랐고 질소비료 줄여주기 영향으로 잎도열병 다발생 우려는 적으나 일부 병에 약한 품종과 거름기가 많은 논에서 발생 할 우려가 있으므로 수시 예찰하기 바랍니다.
잎 색이 짙고 잎이 처지는 논이나, 병에 약한 품종을 집단적으로 재배하 는 지역에서 장마기간 중 병반이 확산될 것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 아침 이슬에 잎이 늘어지는 논, 잎 색이 짙은 논 등 병 발생이 우려되는 포장은 침투이행성 입제나 수화제로 예방위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 참새끼치기가 끝난 논은 중간 물떼기를 하여 과번무를 억제하고, 조생종 이삭거름 주는 시기에 온도가 낮거나 장마가 계속될 경우, 병이 발생된 논이나 잎 색이 짙은 논은 이삭거름으로 질소비료는 주지 말고 칼리비료만 기준량을 주시기 바랍니다.
○ 잎집무늬마름병은 일찍 모내기하여 생육이 왕성한 논은 포기 내 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아져 잎집에 병무늬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찍 심어 벼 생육이 무성한 논은 볏대 아래 부위를 살펴보아 병무늬가 보이고 줄기로 번지게 되면 잎도열병약과 동시방제 하기 바랍니다.

2. 흰잎마름병 (예보)
<7월상순 침수시 감염> ○ 흰잎마름병은 최근 전·남북, 경북지방을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병원세균이 물을 통하여 감염되는 병입니다.
○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병원균의 변이균주나 레이스 분포가 변화하고, 초기 발병 시기가 7월 상순~중순으로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지난해 발생이 많았던 전라북도에서 흰잎마름병 전문약제(테람수화제)로 적기에 방제한 경우 방제효과가 좋았던 점을 감안하여, 장마기간 중 침관수 피해를 입을 경우 적용약제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3. 먹노린재, 벼물바구미,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예보)
○ 먹노린재는 충청남도지역에서 발생이 많고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볏대를 빨아먹는 피해가 우려 됩니다.
○ 벼물바구미는 방제를 통해 다발생 우려는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방제를 못한 논에서는 유충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 먹노린재나 벼물바구미 발생이 많은 논에서는 적용약제로 방제하기 바라며, 무농약 재배의 경우는 논물을 말려주는 것도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됩니다.
○ 벼멸구와 흰등멸구, 혹명나방은 중국남부에서 장마전선을 타고 날아와 볏대에 알을 낳는 시기로 앞으로 발표되는 병해충 발생정보에 따라 적기에 방제할 수 있도록 방제기구와 농약 등을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원예작물 병해충
1. 고추 · 참깨 역병(주의보), 고추 탄저병 · 담배나방, 진딧물(예보)
<고추역병 발생 포장> ○ 고추와 참깨의 역병은 병원균이 물을 통하여 전염되며 병이 발생된 후에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 일부 지역에서는 6월 상순부터 고추 역병이 발생되었고, 장마기간에 급속히 늘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배수로 정비를 잘하여 물 빠짐이 좋도록 하고, 병 발생이 우려되는 밭에는 땅 닿는 부분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뿌려 주시기 바랍니다.
○ 탄저병은 고추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발생되어 번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발생 초기부터 주기적으로 적용농약을 선택하여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고추 담배나방, 진딧물 등 해충의 발생밀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자주 고추 밭을 살펴서 발생 초기부터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고루 묻도록 충분한 량을 뿌려 주시기 바랍니다.

2. 수박 덩굴마름병· 탄저병(주의보), 수박 역병· 균핵병, 생강 뿌리 썩음병 등(예보)
<수박덩굴마름병> ○ 수박 덩굴마름병과 탄저병, 균핵병이 해마다 침수피해를 받는 저지대 수박 주산단지 중심으로 발생되고 있고, 앞으로 역병과 함께 발생이 증가하여 피해를 줄 우려가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수박 세균성 병해 발생도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생강 뿌리썩음병은 땅속줄기나 뿌리가 썩는 병으로 저습지와 찰흙토양, 물 빠짐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 발생이 우려됩니다.
○ 장마에 대비하여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과습하지 않도록 포장을 관리하고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배추 무사마귀병>3. 고랭지 무·배추 무사마귀병, 무름병(예보)
○ 무·배추 무사마귀병은 뿌리에 크고 작은 혹이 생기면서 지상부가 말라죽게 되는 병으로 병원균이 물이나 흙을 통하여 이동하며 물 빠짐이 좋도록 배수로 정비를 잘 해주고 병이 발생된 뒤에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 정식을 앞두고 있는 상습지는 후론사이드, 혹안나, 후론설파이드 분제를 정식 전에 토양 혼화처리 하거나, 정식 전에 트레이묘(플러그묘)를 미리카트(400배액), 탐실(500배액) 액상수화제 희석액이 충분이 흡수되도록 침지 처리하여 정식하거나 미리카트(1,000배액), 탐실(500배액)로 토양에 관주처리 하시기 바랍니다.
○ 무름병은 비가 자주 오고 온·습도가 높게 지속되면 병균 감염에 유리한 조건이 되어 잎에 상처를 많이 받았던 포기에서부터 병이 발생되고 전염되므로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7일 간격으로 2~3회 정도 충분한 량을 뿌려 주시기 바랍니다.
4. 노지 파, 배추 파밤나방, 시설재배작물 작은뿌리파리(예보)
○ 파밤나방은 노지재배 콩, 들깨, 파, 고추, 가지, 배추 등에서는 6월 하순부터 유충이 발생되어 피해를 줍니다. 유충 발생초기에 방제해야 방제효과가 높으므로 밭을 잘 살펴보아 유충이 발견되면 적용약제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작은뿌리파리는 시설작물을 육묘중이거나 모종을 이식하는 시설에서 유기물 또는 배지 속에 발생하여 어린뿌리를 가해하여 줄기와 잎이 시드는 증상을 보이는 피해를 줍니다.
작물주위 토양이나 배지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완숙퇴비를 사용하는 한편 적용농약(디밀린, 초심, 코니도, 베테랑)으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5. 사과 갈색무늬병·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포도 갈색무늬병(주의보), 사과 점무늬낙엽병· 그을음병, 배 검은무늬병, 포도 노균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단감 탄저병(예보)
○ 장마기간에는 사과 갈색무늬병,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그을음병, 배 검은무늬병, 포도 노균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곰팡이병, 단감 탄저병 등의 병 발생이 우려됩니다.
○ 특히 사과 갈색무늬병은 장마기간 중 날씨가 서늘해지고 비가 잦으면 사과나무 잎에 황색의 병무늬가 불규칙하게 생기면서 병반 주위에 진한 녹색의 얼룩무늬가 나타나고 황색으로 변한 잎은 조기 낙엽이 되어 과실의 양분 축적에 장해를 주게 됩니다.
○ 탄저병은 빗물이나 곤충, 조류에 의해 병원균이 전파되고 병든 과실에서 전염되므로 병든 과실은 따서 땅에 묻거나 소각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 겹무늬썩음병은 빗물에 의하여 포자가 분산되어 발생하게 되며 특히 봉지를 씌우지 않고 재배하는 과원에서는 피해가 우려됩니다.
○ 갈색무늬병 등 대부분의 병은 예방위주의 주기적인 방제가 효과적이므로 비 오기 전 후에 발병초기부터 잎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고루 뿌려 주시기 바랍니다.
○ 단감 탄저병은 주로 빗물에 의하여 어린가지와 잎에 병원균이 감염되었다가 과실로 옮겨 붙어 검게 탄 모양의 피해를 주고 상품가치를 떨어뜨리므로 경우가 있어 비 오기 전 후에 적용농약으로 방제하시기 바랍니다.
○ 장마에 대비하여 수관내부에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고 농약살포시 약제가 골고루 묻도록 웃자란 가지를 제거하여 주고, 배수로 정비와 태풍에 의한 바람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지주나 받침대를 고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복숭아순나방(주의보),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은무늬굴나방 등(예보)
○ 응애류는 정기적으로 예찰하여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며, 복숭아순나방은 1세대 피해가 많거나 지난해 피해가 많았던 복숭아 중만생종과 사과원은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충분한 량을 살포하고 피해를 받은 신초나 어린 과실이 발견될 때는 제거하여 땅에 묻어 주거나 소각하기 바랍니다.
○ 사과응애, 점박이응애, 은무늬굴나방은 밀도가 높고 앞으로 발생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발생정도에 따라 적용농약으로 방제하기 바랍니다.
○ 응애류·진딧물 발생밀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관 내부까지 바람과 햇볕 쪼임이 좋도록 웃자란 가지는 정리를 잘해주고, 약제 방제시에는 잎 뒷면까지 약액이 고루 묻도록 충분한 량을 뿌려주시기 바랍니다.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담당부서
농업기술센터 농정담당(☎ 055-940-8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