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의편

  • 페이스북 담기
  • 트위터 담기
  • 구글플러스 담기
  • 링크 주소 복사
  • 본문 인쇄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정용(鄭庸)

본향은 진양, 호는 중재(中齋)로 충성심과 효성이 깊고 꾸미거나 숨김이 없으며 정직한 성품을 지녔습니다. 임진왜란 때 조카(姪)인 익주(翼周), 광주(光周)와 더불어 창의하여 송암 김면 장군 밑에서 공격장으로 활약하였는데, 김성일 초유사로부터 많은 칭찬과 격려를 받았습니다. 그 공으로 문경 임시 현감으로 발령되었으나 사양하였습니다. 김면 장군이 별세한 후 진주병사 최경회와 황진 고종후 등과 결사 항전하였는데 성이 몰락하게 되니 공은 차리리 왜놈들에게 포로가 되느니 보다는 자결하겠다 하여 물에 투신하여 죽으니, 조카 두사람 또한 자결하였습니다. 이에 조정에서는 그 가문을 포상하였고 동계 정온 선생은 전기(傳記)를 써서 후세에 남겼으며, 황암사에서 제향하고 있습니다. (임진란 창의 참조)

유명개(劉名盖)

임진란 후 막판에 정유재란이 있었는데, 이 때 의령, 합천을 거친 왜의 대병은 운봉을 통하여 호남으로 통하여 침투하기 위하여 황석산성을 공격해 왔습니다. 거창·안의·합천 등 삼읍군의 주민들은 총집결하여 황석산성을 지키고 있었는데, 중과부적으로 성이 함락 위기에 놓이게 되자, 공은 선영(조상의묘)이 있는 곳을 바라보고 절한 후 곽준 현감과 종(從)인 은작(銀勺), 물금(勿今)과 함께 순절하였습니다. 황암사 병사에서 선생을 제향하고 있습니다.

오희남(吳希男)

본향은 함양 위천명 무월리 출생으로 부사 오적(오적)의 종질(종질)입니다. 소년 시절부터 문무에 재예가 뛰어난 분으로 임진왜란 때 진주성 수문장으로 왜적에게 결사, 항전하가다 6월 29일 진주성 함락과 더불어 전사하였습니다. 선무 원종공신 3등에 봉해지고 헌종 때에 병조참의가 증작되었습니다.

이성택

공은 영조 4년 무신 반군 때 희길 등 숨어 있는 반군장을 체포하여 법대로 처리하였기에 조정에서는 그 공을 찬양하였습니다.

전근, 전우석

무신년(영조 4년)에 정희량 등이 난을 일으켰을 때, 공은 글을 띄워서 모든 주민에게 창의를 촉구하고 군병을 모아서 적괴를 잡는데 공을 세웠습니다. 그 후 이조참판으로 증직되었습니다. 전우석 또한 전근과 덜불어 공을 세웠기에 지평으로 증직되었습니다. (무신란 창의 참조)

신병우

본향은 거창, 호는 어천으로 고종 경오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수찬에 올랐습니다. 갑신정변 때 입직으로 고종 황제의 파천을 시종 호위하여 무사케 하였으며, 난 후 낙안 군수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북상면 창성에서 귀래대를 짓고 여생을 조용히 보냈습니다.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담당부서
문화관광과 문화예술담당(☎ 055-940-3413)